교회생활 지침서
기독교대한감리회 연천교회
세속화/ 가치관의 변질

본문

세속화는 신성화의 반대말입니다. 과거 종교와 사회가 일치되었던 시대에는
종교의 결정이 곳 국가의 결정이었습니다. 그러나 시대가 흐르면서 종교와
사회는 다른 가치를 갖게 됩니다. 종교가 사회의 가치관을 따라가는 것이 세
속화된다는 것입니다.
이처럼 세속화는 가치관의 변질을 뜻합니다. 그렇다면 교회는 어떤 가치관을
 가지고 있으며, 사회는 어떤 가치관을 가지고 있을까요?

1. 맘모니즘.
맘몬은 아람어인 맘모나에서 유래된 성경 용어입니다. 성경에서 맘몬은 돈,
부, 재산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신약성경에서는 맘몬이 하나님과 대립되는
우상으로 간주합니다. "하나님과 물질을 겸하여 섬길 수 없다"는 예수님 말씀
에서 물질이 바로 맘몬입니다. 맘모니즘은 돈, 재산, 물질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태도, 행위를 말합니다.
실천신대 이원규 교수는 맘모니즘은 사회와 종교를 부패시키는 반사회적인
힘이라고 주장합니다.
맘모니즘은 다른 말로 물질만능주의, 배금주의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2. 교회와 맘모니즘
초대교회 때, 교인들은 자신의 재산을 팔아 공유했습니다. 맘모니즘과는 거리가
 멀었고, 오히려 가난을 미덕이라고 여겼습니다. 시간이 흘러 313년, 로마의
콘스탄틴 대제는 기독교를 국교로 공인합니다. 후로 교회는 많은 물질을 얻고,
 재산을 축적하게 되면서 물질을 탐하는 행태가 나타납니다. 대표적인 예로,
 돈으로 성직매매를 하는 것입니다. 감독선거 때는 성직자의 신앙과 인격이
아닌 물질이 선출에 큰 요소가 되었고, 선출된 후에는 권력으로 다시 부를
챙기는 악순환이 일어났습니다. 이러한 순환이 진행되면서, 반대운동들이
일어났지만 중세에 접어들면서 '면죄부'(죄를 면해주는 증서)를 판매하게
됩니다. 물론 그 후에 종교개혁이 일어나 카톨릭과 개신교로 나뉘게 됩니다.

사회심리학자 베버는 개신교 특유의 소명감과 절제하는 삶으로 인해 많은
부를 축적했으며, 이것이 근대 자본주의를 발달시켰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돈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맘모니즘은 교회의 가치관을 변질시키고, 본질은
잃고 전통과 행실만 남는 껍데기의 모습이 될 것이라는 웨슬리의 말을 떠올
리게 됩니다.
정민우 조회 2,047회 2015-07-10 12:55

댓글목록

교회명 :연천감리교회 | 담임목사 : 김대성 | 주소 : (486-806)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연천로 298
전화 : 031-834-0888 | 팩스 : 031-834-0888 | E-mail : kl0816@naver.com
Copyright 2007~2025 연천교회.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BLESS 031)954-8601